사촌마을과 가로숲
- 경북 의성
사촌마을은 1392년에 중국의 사진촌(沙眞村)을 본 따 사촌(沙村)이라 하였으며 많은 유현들이 이 마을에서 태어났다고 합니다. 수백 년 동안 안동김씨(安東金氏) 풍산유씨(豊山柳氏) 등이 세거(한 고장에 대대로 삶)한 반촌마을이며 임진왜란과 명성황후 시해때 의병을 주도한 마을이기도 합니다.
또한 마을 북편은 송림이 뒤덮인 자하산(紫霞山)이 있으며 서편에는 안동김씨가 사촌으로 입향 할때 조성한 남북방향으로 길게 놓인 사촌리의 가로숲(천연기념물 제405호)이 마을의 방풍 겸 경관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밖의 문화재로는 퇴계 문인 김사원(金士元)이 선조 15년(1582)부터 3년간에 걸쳐 완성하여 자신의 호를 딴 만취당(晩翠堂 , 경상북도 지방유형문화재 제169호)과 그 옆에는 수령이 약 500년 된 의성사촌리 향나무(경상북도 지방기념물 제107호)가 있으며, 송은(松隱) 김광수(金光粹 1468~1563)가 연산군 때 관직을 버리고 운둔생활을 하며 학문에 전념하기 위해 지은 영귀정(詠歸亭,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34호)이 있습니다. (출처 : 의성 군청 문화 관광)
만취당은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825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만취당
공사 중이라고 하는데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재정비될 지 궁금하다.
뼈대만 남은 만취당
접근금지 구역임에도 혼자서 조심조심
만취당의 가려졌었던 속살까지 살펴보았다.
만취당,
그곳에는 세월이 있었다.
힘겹게 그러나 당당하게 살아온 세월이 있었다.
수령 오백년
서애 유성룡의 외할아버지 송은 김광수 선생이 심고 그 이름을 만년송이라 불렀다고 한다.
사촌마을,
고택들이 즐비하게 시간을 담고 있으리라 기대했으나
항일의 아픈 역사로 인해 고택들은 와해....!
좀 많이 아쉬웠다.
땀을 뻘뻘 흘리며 마을 이곳 저곳을 기웃거렸지만... 아쉬움!
고택마을에 벽화들이 있더라...
하지만
어울림은 아니었다.
엄청난 표지석이 있는데
사촌서림은 야금 야금
사람들의 욕심에 의해 초라해져만 가나보다...
세 명의 재상이 태어나는 기운이 있는 마을
서쪽에 열린 공간을 나무들로 채웠는데
지금은 그 시간의 위용이 외로워 보였다.
작은 위로^^
시간은 멈추어 있으면 생명력을 상실한다.
시간은 움직여야 한다.
사촌마을을 한 바퀴 돌고 난 뒤의 낙서 한 장
'네모로 세상보기 > 일상을 떠나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빙계계곡 (0) | 2014.08.15 |
---|---|
고운사 (0) | 2014.08.09 |
궁남지 - 충남 부여 (0) | 2014.07.06 |
소금강 2013 추석 (0) | 2013.10.01 |
제주 금악오름 (0) | 2013.09.30 |